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2-19 09:52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넓고 얕은 모든 지식

강도다리 양식 회 어종 본문

카테고리 없음

강도다리 양식 회 어종

스마트지식 2023. 10. 7. 23:30
반응형

강도다리는 가자미목 가자미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학명은 Platichthys stellatus입니다.

몸길이는 최대 91cm, 몸무게는 최대 9kg까지 자랍니다.

강도다리는 주로 동해 북부에서 서식하며, 

광염성 어종으로 바다뿐만 아니라 기수 지역이나 강하류에서도 서식하기도 합니다. 

강도다리라는 이름은 강에서도 잡히는 도다리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광염성 어류란 염분의 농도 변화가 심한 수역에서 살고 있는 물고기를 말합니다.
황어, 숭어, 농어와 같이 강어귀에 사는 물고기와 

연어, 송어, 은어와 같이 강과 바다 사이를 오가는 물고기를 이른다.

강도다리


2000년대 초반 국립수산과학원 동해특성화연구센터에서 

인공수정이 처음 성공된 이후 울진관내 종묘생산업체와 협력하여 

강도다리 종묘를 대량생산한 것이 국내 강도다리 양식의 시초라고 합니다. 

현재는 국내에서도 활발히 양식을 하고 있습니다.


강도다리의 특징

강도다리는 납작한 몸을 가지고 있으며, 등쪽은 갈색이나 녹색을 띠고, 

배쪽은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머리는 작고, 눈은 몸통의 왼쪽에만 있습니다.

강도다리는 흰살 생선으로, 담백한 맛이 일품입니다. 

주로 횟감이나 구이로 먹으며, 특히 봄철에 잡히는 강도다리는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맛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강도다리의 효능

강도다리는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단백질은 근육 형성과 유지에 도움을 주며, 비

타민과 미네랄은 피부 건강과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강도다리를 구입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눈이 맑고 밝으며, 비늘이 깨끗한 것을 고릅니다.
살이 단단하고 탄력이 있으며,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을 고릅니다.
껍질에 딱딱한 돌기가 있는 것은 

강도다리가 아니라 줄가자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강도다리의 요리법

강도다리는 횟감, 구이, 조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할 수 있습니다.

횟감 : 강도다리는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맛이 일품이므로, 

횟감으로 먹으면 그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
구이 : 강도다리는 구이로도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강도다리를 구울 때는 껍질째 구워야 쫄깃한 식감이 살아납니다.
조림 : 강도다리를 조림으로 먹으면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강도다리를 조림으로 할 때는 양념에 재워두면 더욱 맛있습니다.

강도다리의 제철은 봄철입니다. 봄철에 잡히는 강도다리는 

살이 통통하고,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맛이 일품입니다.

강도다리회

강도다리는 흰살 생선으로 담백한 맛이 일품인 생선입니다. 

특히 봄철에 잡히는 강도다리는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맛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강도다리를 구입할 때는 눈이 맑고 밝으며, 비늘이 깨끗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강도다리는 횟감, 구이, 조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할 수 있으니, 

취향에 맞게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태안 강도다리 양식장 (서울양식)

https://naver.me/FZWJST2V

 

서울양식 : 네이버

 

m.place.naver.com

 

<강도다리 치어 동영상>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