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2-16 00:01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넓고 얕은 모든 지식

크래프트비어 맥주 더블드라이호핑 정보 DDHIPA 본문

잡다하지만 유용한 지식

크래프트비어 맥주 더블드라이호핑 정보 DDHIPA

스마트지식 2023. 12. 10. 01:22
반응형

수제맥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IPA, 에일맥주를 좋아한다고 보통 말할 수 있습니다.
IPA중 더 홉이 강하고 도수도 높고(보통 7~10도) 맛있는 것이 DDHIPA(더블드라이홉IPA)라고 합니다.
 
더블 드라이 호핑(Double Dry Hopping)은 수제맥주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홉 처리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기법은 특히 맥주에 특유의 홉 향과 풍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재료가 많이 들어가고 호핑으로 인해 맥주는 대부분 헤이지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블드라이홉 맥주로 유명한 브루어리는 주로 미국에 있습니다.
1) Tree House Brewing Company (미국, 매사추세츠):
    Tree House Brewing Company는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브루어리로, 다양한 스타일의 수제맥주로 유명합니다. 특히 "Julius"나 "Green"과 같은 더블 드라이 호핑 기법을 사용한 IPA(India Pale Ale) 맥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2) Trillium Brewing Company (미국, 매사추세츠):
    Trillium Brewing Company는 매사추세츠주에 소재한 브루어리로, 높은 품질의 수제맥주로 유명합니다. 더블 드라이 호핑을 활용한 IPA와 판타스틱 퓨처와 같은 베어럴 에이징 맥주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3) Other Half Brewing Company (미국, 뉴욕):
    Other Half Brewing Company는 뉴욕에 본사를 둔 브루어리로, 다양한 스타일의 수제맥주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더블 드라이 호핑을 사용한 IPA와 판타스틱 퓨처, 고어앤포레스트 등이 해당 브루어리의 주목받는 맥주들 중 일부입니다.
4) Monkish Brewing Co. (미국, 캘리포니아):
    Monkish Brewing Co.는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수제맥주 브루어리로, 특히 더블 드라이 호핑을 활용한 또렷한 향과 맛을 가진 뉴 잭슨 IPA와 같은 맥주로 유명합니다.


더블 드라이 호핑에 대한 주요 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드라이 호핑(Dry Hopping):

드라이 호핑은 발효가 끝난 맥주에 홉을 추가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때, 홉은 주로 향과 풍미를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드라이 호핑은 보통 발효 중 또는 발효가 끝난 후에 이루어집니다.


2. 더블 드라이 호핑(Double Dry Hopping):

더블 드라이 호핑은 일반 드라이 호핑보다 홉을 두 번 사용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맥주에 더 많은 홉의 특성과 풍미를 더하기 위한 것입니다.
첫 번째 드라이 호핑은 발효 중 또는 발효가 끝난 후에 이루어지고, 두 번째 드라이 호핑은 첫 번째 호핑 이후에 추가로 홉을 사용하여 이루어집니다.
두 번째 드라이 호핑은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수행되며, 이는 추가적인 홉 특성을 추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더블 드라이 호핑의 목적:

더블 드라이 호핑을 통해 더 많은 홉의 향과 특성을 맥주에 부여함으로써, 특별한 풍미와 아로마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강조하고자 하는 홉의 다양한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4. 홉의 종류와 양:

더블 드라이 호핑에서는 특정 홉의 다양한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양 또한 제조자의 취향이나 목표한 맥주의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더블 드라이 호핑은 수제맥주 제조의 예술적인 부분 중 하나로 간주되며, 이 기법을 통해 제조자는 창의적으로 다양한 풍미의 맥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
Comments